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lagom framework
- svn
- 폴-안티스파이앱
- Subversion
- 설치
- windows vista
- 스파이앱
- CVS
- 차이점
- 썬
- 폴-안티 스파이앱
- 폴안티
- Lambda Expressions
- 한강 #야경 #한강야경
- 윈도우즈 비스타
- 폴안티 스파이앱
- 라곰
- 스포티지r 풀체인지
- 폴-안티
- 책상
- 라곰프레임워크
- volatile
- TortoiseSVN
- lagom
- java8 람다식
- selenium #scraping #webscraping #jsoup #firefox
- 명주
- 폴안티스파이앱
- 정통춘천닭갈비
- 모니터
Archives
- Today
- Total
장발의 개발러
2번째 과제 본문
****************************
작성일: 2009.04.04(월)
작성자: Myung-Ju.Kim
블로그: imover.tistory.com
****************************
1. 계층형 프로토콜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왜 프로토콜을 계층화 하는가?
하위 계층이 상위 계층에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받는 것과 같다. 또 이런 서비스를 규정한 약속을 인터페이스라 한다. 같은 계층의 모듈 간에는 독립적인 규칙이나 절차를 적용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약속을 프로토콜이라 하며 타 기종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통신망 프로토콜의 표준으로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된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이 발표 되었다.
프로토콜의 계층화는 프로토콜이 수행하는 통신 절차 및 규약에 관한 내용들을 단계적으로 분리하여 통신 범위 및 한계에 따라 층(Layer)이라는 형태로 정의해 놓고, 다시 층간의 수직적 상하 관계에 따라 정의해 놓은 절차를 밟아 상대방 계층과의 통신을 하도록 한 것이다. 네트워크 구조는 복잡한 논리적인 시스템이기 때문에 각 기능을 편리하게 분리시키고, 공통적인 서비스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 또 새로운 기술의 도입이나 이용자 요구 등이 발생할 때 통신 기능의 확장, 변경에 의한 영향에 무관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른 계층들과 기능적으로 독립성을 유지하고, 상위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2. 인터넷 모델과 OSI 모델은 어떻게 다른가?
유사점 | 차이점 |
① 계층모델이다. ② 다양한 서비스 기능을 가진 응용프로그램 계층이 존재한다. ③ 전송계층 / 네트워크 계층과 호환하는 계층이 존재한다. ④ 전송계층은 두 호스트간의 종단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⑤ 패킷 교환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
① TCP/IP 프로토콜의 응용계층은 OSI 참조모델의 표현계층과 세션계층을 포함한다. ② TCP/IP 프로토콜은 물리계층과 데이터 링크계층을 하나로 취급한다. ③ TCP/IP 프로토콜은 인터넷 발전에 표준이 됐으며 높은 신뢰성이 있고 어떠한 네트워크도 구체적인 OSI 프로토콜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
3. 메시지 스위칭과 패킷 스위칭은 어떻게 다른가?
- 메시지 교환 방식(Message switching)
메시지 교환 방식은 송신자와 수신자간의 어떠한 물리적인 경로도 성립되지 않는다. 대신에 송신자가 데이터를 보내면 한번에 물리적인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중간의 라우터의 디스크에 저장되었다가 한 홉씩 전달된다. 이러한 방식을 저장 후 전송(store-and-forward) 이라 한다. 이렇듯 하나의 메시지가 한 홉 간에 완전히 전송된 후에 다음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 패킷 교환 방식(Packet switching)
메시지 교환 방식은 메시지 크기의 제한이 없다. 따라서 너무 큰 메시지의 경우 임시 저장이 힘들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메시지가 오랫동안 라우터에서 지체될 수 있기 때문에 대화형 트래픽(Interactive traffic)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패킷 교환 방식이다. 패킷 교환 방식은 메시지의 크기에 제한을 두고 라우터의 디스크가 아닌 메인메모리에 임시 저장한다. 따라서 하나의 메시지가 작은 메시지인 패킷으로 분할이 되어 전송되는데 이는 첫 번째 메시지의 전체가 도착하기 전에 두 번째 메시지의 패킷이 전달 될 수 있다. 쉽게 병렬처리를 생각하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현재는 패킷 교환 방식이 널리 쓰이며 메시지 교환방식은 쓰이지 않는다. 단,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은 메시지들은 서로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순서가 다르게 전송될 수 있으므로 수신 측에서 재조합의 과정이 필요하다.